日서 유행 중인 매독, 한국에 전파?...환자 수 전년比 4.5배

초기 환자는 페니실린으로 치료... "콘돔 사용 등 안전 신경써야"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매독이 전수감시 대상(3급 감염병)으로 전환된 뒤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수감시 전환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신고된 환자는 1881명으로 지난해 416명 대비 4.52배 증가했다.

병기 별로 구분했을 때 △1기 환자 679명 △2기 환자 316명 △3기 환자 39명 △선천성 환자 9명이었다.

매독 환자 수는 △2020년 330명 △2021년 339명 △2022년 401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이 병은 4급 감염병으로 표본감시 대상이었지만, 올해 1월부터 3급 감염병으로 상향 조정돼 전수감시 대상이 됐다. 장기간 전파될 수 있고, 적시에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전수감시 질병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감염병(1·2·3급) 환자를 진단했을 때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표본감시는 국가에서 정한 일부 의료기관에서만 환자 발생(4급 감염병) 때 신고하게 돼있다. 주로 중등도가 낮거나 발생률이 높은 감염병이 표본감시 대상에 해당된다.

매독 환자가 늘어난 것은 전수감시로 바뀌면서 늘어난 것도 있겠지만 현재 이 병이 유행 중인 이웃 나라 일본의 영향도 크다는 분석이다.

전날 후지뉴스네트워크에 따르면 도쿄 내 매독 감염 환자 수는 지난 1일 기준 2460명에 달했다. 과거 감염자 수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3701명과 비슷한 수준의 증가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자는 남성이 70%, 여성이 30%로, 남성은 20~50대, 여성은 20대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서 의원은 "올해 새로 시행되는 전수감시 체계를 통해 매독 감염의 정확한 규모와 역학관계를 파악하고, 매독 확산 시 신속한 예산 마련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매독, 방치하면 신경계 이상..."안전한 성생활이 최선의 예방"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는 "전수감시로 바뀌면 신고 강제성이 생기고 감시 의료기관도 늘어나 환자 수가 당연히 늘 수밖에 없다"면서도 "일본에서 유행 중인 만큼 절대적인 환자 수도 늘어났을 것으로도 보이며 안전한 성관계 인식이 떨어진 것도 한 몫 한다"고 분석했다.

엄 교수에 따르면 1기 매독 상태에서는 성기 혹은 그 주변부에 무통성 궤양이 발생하며 2기로 발전하면 전신에 발진이 발생한다. 드물지만 3기 매독으로 이어지면 신경계 이상 또는 척추뼈 등 골격계 변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는 페니실린(항생제) 주사가 1차 치료다. 1·2기 혹은 초기 잠복 단계 매독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다만 3기 이상 후기 매독은 중추신경계로 침범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1회 씩 3주 간 주사 치료를 시행한다.

엄 교수는 "예방은 결국 안전한 성생활이 가장 중요하다"며 "상대의 건강 상태를 모르고 성 접촉을 하거나 성관계 때 콘돔 같은 안전망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고 조언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