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인가 넘겼는데"...감정기복 심한 아이, ‘이 병’일 수도?

방치하면 만성으로 발전하는 소아우울증, 정확한 진단·치료해야

소아우울증은 흔히 사춘기의 증상인 일시적 감정기복으로 혼동되기도 하지만, 방치하면 만성 우울증으로 발전해 성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아우울증은 국내에서 점점 더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시적인 감정기복으로 넘기면 아이의 몸과 마음 건강에 장기적인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우울증은 우울감과 의욕 저하를 주요 증상으로 가지는 정신과적 질환이다.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발생하면 소아우울증이라고 부른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에 따르면 소아우울증의 원인은 60%가 학업 스트레스나 가족·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며, 나머지 40%는 유전적 요인이다.

국내 소아우울증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집계 결과 아동(6~11세)의 우울증 진료 건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92% 증가했을 정도다. 같은 기간 청소년(12~17세)의 진료 건수는 57% 늘었다.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은 성인이 되기 전 1번 이상의 우울 삽화(일정한 기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는 것)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소아우울증은 성인에게 나타난 우울증과 비슷하게 식욕 저하, 불면증, 집중력 저하 등을 동반한다. 공부에 집중이 안 된다고 호소하거나, 이전에 즐기던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잃는 아이들이 많다.

우울한 상태를 자각하지 못한 아이들은 이러한 상태가 짜증이나 예민함으로 발견되기도 하며, 주의력결핍행동장애(ADHD), 품행장애, 불안장애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춘기와 우울증 증상을 혼동하기 쉽다. 우울감이나 과민함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다음의 증상 중 4가지 이상이 나타나는 아이는 체계적인 우울증 진단이 필요하다.

우울증 경고 증상. [자료=서울대병원]
소아우울증은 방치하면 만성 우울증으로 발전해 성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흔히 60% 내외의 환자에게 항우울제가 처방되며, 반응이 없는 환자는 인지행동치료, 놀이치료나 정서조절 훈련 등을 병행할 수도 있다.

김재원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교수는 소아우울증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수칙은 마음과 몸이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게임이나 휴대폰 대신 신체활동을 통해 휴식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바쁜 교육 환경에서 부모가 나서 아이의 숨 돌릴 틈을 직접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가정에서도 실시할 수 있는 우울 검사(PHQ-9) 등의 평가 도구를 통해 매년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실시하는 것도 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김재원 교수는 “소아우울증을 겪는 아이나 부모는 이 상황이 자신의 잘못에서 비롯됐다는 죄책감을 느끼곤 한다. 그러나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병”이라며 “원인을 찾기보다 현재와 미래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자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