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과 전자공학의 만남, 미래 먹거리의 판도를 바꾼다.

입력
기사원문
문상윤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ETRI-서울대, 기후위기 속 지속 가능한 농업 혁신 기술 공개… 인간과 식물의 새로운 연결고리 제안

▲ ETRI-서울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무인 자동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농업 현장. ⓒ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하 ETRI)과 서울대학교가 식물, 농업, 전자공학, 바이오공학의 융합을 통해 인류의 미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할 혁신적 기술을 선보인다.

17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개최되는 ‘미래 먹거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제1회 식물-전자공학 융합 심포지엄’에서 연구진은 식물의 전기적 특성과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공개하며, 기술의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논의한다.

연구진은 식물의 전기적 특성과 생리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융합 기술을 개발했다.

식물 일체화 전극 기술은 식물의 표면을 전극으로 변환해 전기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식물에 부착하거나 장기간 사용해도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전기 자극을 통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이는 정밀한 농업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식물 인바디 기술은 바이오임피던스 분석으로 잘 알려진 ‘인바디’ 기술을 식물에 적용한 기술이다. 전기적 신호를 활용해 식물 내부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어, 농작물의 스트레스와 성장 조건을 세밀히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플랜트 햅틱스는 촉각이 없는 식물에 전기 자극을 통해 촉각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식물이 바람, 병충해 등 외부 환경에 반응하도록 지원하며, 인간과 식물 간의 상호작용도 가능하게 한다. 플랜트 햅틱스는 농업뿐만 아니라 도시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은 혁신 기술이다.

플랜트로닉스(Plantronics)는 플랜트(식물)와 일렉트로닉스(전자공학)의 합성어로, 식물을 전자공학적으로 해석하고 제어하는 접근법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이를 기반으로 식물의 전기적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ETRI-서울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식물 일체화 전극 기술의 금 나노메쉬 식물전극. ⓒ ETRI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 심화되면서 농수산물 수급 불안정은 인류의 먹거리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랜트로닉스 기반의 융합 기술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심포지엄에서는 △사람 전자공학의 식물 적용 △식물 전자공학 △차세대 식물 진단 △식물모사 소재공학 등 다양한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전문가들이 협력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김재준 ETRI 선임연구원은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농업 기술 개발은 필수적인 과제”라며 “이번 심포지엄은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인류의 미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수 서울대학교 교수는 “심포지엄을 통해 다학제 간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과 미래 식량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ETRI와 서울대학교가 공동 수행 중인 ‘초환경적 식물 재배 및 전주기적 관리를 위한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직접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과제를 기반으로 한다.

이 프로젝트는 농업과 전자공학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미래 농업 기술을 선도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