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부’라던 9개월 아기, 서른 살 어엿한 사회인 됐다

입력
수정2024.12.16. 오후 12:31
기사원문
민태원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지원씨, 1994년 아버지 간 일부 이식 받고 30년간 건강 유지

국내 첫 생체 간 이식 30주년 맞아
1998년 당시 유치원생이던 이지원씨가 집도의였던 이승규 교수와 함께 공원에서 청진기로 의사 놀이를 하고 있다.


30년 전 간이 딱딱하게 굳어 시한부 삶을 살던 생후 9개월의 아기가 아버지의 간 4분의 1을 이식받고 건강을 회복해 서른 살의 어엿한 사회인이 됐다. 주인공은 국내 첫 생체 간 이식 수술을 받은 이지원(여)씨다.

16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씨는 1994년 12월 8일 아버지로부터 간 일부를 이식받고 기적 같이 건강을 되찾았다. 당시 이씨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에 따른 간경화로 첫 돌이 되기도 전에 죽음 앞에 놓였었다.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옮겨 심는 생체 간 이식은 뇌사자 간 이식에 비해 수술이 매우 까다롭고 합병증 위험이 커, 높은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 첫 생체 간 이식 주인공인 이지원씨(가운데)가 당시 집도의였던 이승규 교수(왼쪽)와 주치의인 김경모 교수와 함께 30주년을 기념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이승규 석좌교수는 당시 일본에서 생체 간 이식술을 처음 도입하고 동물실험과 수십 번의 시뮬레이션을 거치며 첫 대상 환자를 기다리던 중이었다. 그리고 태어나자마자 선천성 질환으로 생사를 넘나들던 어린 이씨에게 기적 같은 희망이 찾아왔다.

이 교수를 비롯한 의료진은 오직 아기를 살리겠다는 마음만으로 생체 간 이식 도전에 나섰고 부모는 의료진의 큰 용기에 부응해 딸에게 간을 내줬다. 모두의 간절한 노력으로 생명을 얻은 아기는 건강하게 자라 올해 서른 살을 맞이했다. 이씨는 현재 보험 관련 직장에 다니고 있다.

당시 이식 수술을 집도한 의료진은 국내 첫 생체 간 이식이 성공한 순간을 또렷이 기억했다. 의료진은 “뱃속에 이식된 창백한 간이 붉게 물들었다. 아기의 심장에서 뿜어져 나온 피가 무사히 간으로 흘러드는 것을 보고서야 안도했다”며 당시를 회고했다.

1995년 5월 주치의인 김경모 교수(왼쪽 두 번째) 등 의료진이 생후 15개월이던 이지원씨의 퇴원을 축하해주고 있다.


이씨의 소아 생체 간 이식 성공 이후 서울아산병원은 지금까지 7392명(성인 7032명, 소아 360명)에게 같은 방식으로 새 삶을 선사해 왔다. 이는 국내를 넘어 세계 최다 기록이다.

생체 간 이식은 환자 입장에선 뇌사자의 장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돼 병세가 악화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뇌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간 손상 위험도 없어 이식받는 간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산병원의 경우 간 이식의 85%를 생체 이식으로 시행해 왔다. 고난도 생체 간 이식을 포함해 이 병원의 전체 간 이식 생존율은 1년 98%, 3년 90%, 10년 89%로 매우 높다. 최근 10년간 시행된 소아 생체 간 이식 생존율은 거의 100%에 육박한다.

이승규 교수는 “1994년 12월 생후 9개월 아기를 살린 생체 간 이식은 우리의 간 이식 여정에 의미있는 이정표가 됐고 이를 계기로 7000명 넘는 말기 간질환자들에게 생체 간이식으로 새 생명을 줄 수 있었다”고 말했다.

1998년 당시 유치원생이던 이지원씨가 집도의였던 이승규 교수와 함께 공원에서 청진기로 의사 놀이를 하고 있다.


이씨의 간 이식 후 30년 간 성장 과정에서 영양 관리 등 주치의를 맡아온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는 “국내 첫 생체 간 이식을 받은 아기가 기적처럼 유치원에 들어가고 이후 평범한 학창 시절을 보내며 이제는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성인으로 성장한 것은 이식 의료의 성공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고 했다. 김 교수는 “이식 후 관리를 철저히 하면 30년을 넘어 평생 건강하게 살 수 있다”면서 “이식 환자들의 성공적인 삶은 이식을 받은 아이들과 가족에게 큰 희망을 주는 귀중한 증거”라고 강조했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국민일보 사회부에서 보건의료, 의학, 과학 보도를 맡고 있습니다. 암 등 질병예방, 금연, 자살 예방, 생명 윤리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