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성공은 글로벌 환경 정책의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공화당은 전통적 에너지 산업 보호를 기조로 파리기후협약 재탈퇴, 환경 규제 완화, 화석 연료 산업 부활 등 급진적인 정책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부산을 포함한 전 세계 해양도시와 수출 중심 산업에 중대한 도전이다.
부산은 해양도시로, 항만, 조선, 해운 등 해양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부산의 조선·해운 산업은 글로벌 기후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행정부의 재생 가능 에너지 보조금 철회와 화석 연료 부활 정책은 친환경 선박, 풍력 발전 설비 등 부산 기업들의 주요 수출 품목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유럽(EU)을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규범 강화는 부산 기업들에 이중적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세 가지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탄소중립 전환과 기술 혁신이다. 부산은 항만과 조선 산업의 에너지 소비 구조를 개선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 부산항은 연간 약 2000만 TEU(컨테이너 단위)를 처리하며, 항만 운영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태양광 및 해양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물류 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자율운항 선박, LNG 추진 선박 등 저탄소 기술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HD현대미포조선은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자율운항 선박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탄소 배출을 50%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 사례는 부산이 글로벌 조선 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다.
둘째, ESG 경영 강화와 민관 협력이다. 부산 지역 기업들이 국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기준을 준수하도록 경영 전략을 재정비하고 기술적 역량을 강화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ESG 경영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며, 동시에 환경 규제와 통상 장벽을 극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대한해운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선박 연료 소비를 실시간으로 분석, 최적화하여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러한 사례를 확산하기 위해 ESG 인증 획득을 위한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과 정책적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시민 참여이다. 부산이 지속 가능한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첨단 해양 기술 중심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시민 참여가 필수적이다. 자율운항 선박, 반도체 기반 해양 기술, 인공지능 물류 시스템 등 신산업에 투자하며, 지역 대학과 협력해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산 지역 첨단 해양 기술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산업 맞춤형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를 확대해 지역 내 인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청년 창업 지원센터와 연계해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부산의 도전은 곧 기회다. 국제 정세의 변화는 부산이 도약할 기회를 제공한다. 탄소중립 기술 개발, ESG 경영 강화,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시민 참여는 부산이 지속 가능한 해양산업 도시로 전환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이 될 것이다. 부산 시민들과 기업들이 힘을 합친다면, 글로벌 기후위기 속에서도 부산은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위기가 곧 기회라는 말처럼, 부산의 도전은 곧 발전의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