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실직, 내 탓만 했는데… 성인 될 때까지 몰랐던 ‘ADHD’ 때문 [조금 느린 세계]

입력
수정2024.11.28. 오후 5:15
기사원문
이해림 기자
이해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집중 잘 하고 과잉 행동도 없어 알아차리기 어려운 유형
흥미 있는 일에만 몰두하다가 나머지 일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자꾸 덤벙거려 일상에 문제가 생긴다면 ADHD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흥미 있는 일에만 몰두하다가 나머지 일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자꾸 덤벙거려 일상에 문제가 생긴다면 ADHD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대 후반 A씨는 유난히 회사에서 잘린 적이 많았다. 맡은 일을 마무리하지 못하거나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일상생활에서도 카드나 지갑 같은 물건을 1주일마다 잃어버리곤 했다. 남들처럼 ‘1인분’을 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괴로워하다가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았다. A씨는 학창 시절 수업 시간에 산만하게 돌아다니던 아이가 아니었다. 그런데 엉뚱하게도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진단받았다.

ADHD는 보통 어린 시절에 진단되지만, 어른이 된 후에야 알게 되는 사례도 꽤 있다. 전형적인 의심 증상이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다. ‘지금껏 치료하지 않고도 잘 살았다’며 놔뒀다간 향후 우울증으로 번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어떤 때에 성인기 ADHD를 의심해봐야 할까?

“집중할 땐 잘 하는데…” 그래도 ADHD일 수 있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충동성 등 세 가지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발달 질환이다. 대중에겐 과잉 행동이 가장 잘 알려져 ‘가만히 있지 못하는 질환’으로 인식됐다. 제자리에서 무언가에 몰두하지 못하는 모습이 두드러질 때만 “우리 애가 산만하다”며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환자에 따라 세 증상이 모두 나타나기도 하고, 한 가지만 나타나기도 한다. A씨처럼 산만하지 않은 ADHD 환자도 있다는 뜻이다.

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섭 교수는 “게임, 독서, 공부에 집중을 나름 잘 하는 사람이어도 ADHD일 수 있다”며 “하나에 지나치게 몰두하느라 다른 일에 신경을 전혀 못 쓸 때 특히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회사에서 해야 할 일이 여러가지라면, 중요도에 따라 집중력을 50%·30%·20%처럼 분산해 모두 끝마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ADHD 환자는 그나마 흥미 있는 일에만 100% 몰두하느라 하기 싫은 나머지 업무는 손도 대지 못한다. 주의·집중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단순히 집중 ‘시간’이 짧은 것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일의 중요도에 따라 집중력을 분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에 지장 생길 정도로 덤벙거리기도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거나, 시간 관리를 지나치게 못 할 때도 ADHD를 의심할 수 있다. ADHD는 크게 ‘조용한 ADHD’와 ‘산만한 ADHD’로 나뉜다. 행동이 부산스럽고 같은 말을 반복하는 산만한 ADHD와 달리, 조용한 ADHD는 과잉 행동을 보이지 않으면서 주의·집중력만 떨어진다. 성인기에 ADHD를 진단받은 환자들은 대부분 조용한 ADHD에 속한다. 과잉 행동은 나이 들며 저절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주의력 부족은 성장한 후에도 잘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ADHD 환자의 약 20%가 조용한 ADHD다. 과잉 행동이 있는 이들보다 알아차리기 어려워 치료로 이어지는 비율이 낮다.

조용한 ADHD 환자는 산만하다기보다는 덤벙거리는 쪽에 가깝다. ▲일 할 때 실수가 잦고 ▲한번 시작한 일을 계속 집중해 끝마치기가 어렵고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정리 정돈을 잘 하지 못하고 ▲계획을 잘 세우지 못하고 ▲약속을 자꾸 잊어버리는 등의 증상을 주로 보인다. 고려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지수혁 교수는 “타인과 대화한 내용을 자꾸 잊어버리거나, 지루하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업무·집안일을 하기 어려워 하는 사람도 상담을 받아보길 권한다”고 말했다.

약물치료 가능하나 ‘생활 습관 교정’이 더 중요
어릴 때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보다는 늦은 감이 있지만, 성인기에 ADHD를 진단받은 환자도 꼭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ADHD로 생긴 문제가 일상생활을 무너뜨리기도 해서다.

A씨는 “회사나 단체 생활에서 나의 실수로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는 일이 반복되니 우울증이 생겼다”고 말했다. 한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인향 교수는 “치료하지 않으면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에서 고전하며 우울증 같은 심리 질환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초기부터 병원에서 치료하길 권한다”며 “생애 어느 시기든 ADHD로 인해 자해·타해 같은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인기 ADHD도 약물치료가 가능하지만, 인지 행동 치료를 통한 습관 개선이 더 중요하다. ADHD 치료 약물은 일시적으로 흥분을 줄여 사람을 차분하게 만든다. 산만한 ADHD에는 효과가 큰 반면, 원래 과잉 행동이 두드러지지 않던 조용한 ADHD 환자에겐 덜할 수 있다. 김인향 교수는 “성인 ADHD의 경우, 동반 증상을 완화하고 지역 사회에서 직업을 얻고 스스로 적응해서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치료 목표”라며 “생활 습관 개선 노력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수혁 교수는 “주의·집중력이 낮더라도 계속 훈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떤 문제를 개선하고 싶은지, 목표부터 세워야 한다. 이후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자신감을 얻는 게 중요하다. 성인 ADHD 환자들은 시간 관리를 못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시간 관리에 특히 신경 쓰도록 한다. 단순한 일상 계획표부터 가볍게 짜 보는 것이 좋다. 잠들기 전에 내일 할 일을 30분 정도 생각하고, 꼭 해야 할 일만이라도 정해두는 식이다. 하려고 마음먹은 일을 막상 다 하지 못할 것 같다면 계획표를 도중에 수정해도 괜찮다. 본인의 하루 행동을 되돌아보고 개선점을 찾기 위해 일기를 쓰는 것도 권장한다. 길고 상세하게 쓰지 않아도 된다. 오늘 어떤 일이 있었는지,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만 간단히 써도 효과가 있다. 그날 한 행동의 목록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쉽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