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 하늘의 별 따기 마일리지 대란

입력
수정2024.12.01. 오후 4:03
기사원문
박일근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대한항공 마일리지 특별기 홍보 이미지. 대한항공 제공


영미 문화권에서 쓰는 거리 단위인 마일(mile)은 원래 로마시대 병사들의 ‘1,000걸음’이 어원이다. 1마일은 1.6㎞이니 실제로는 2,000보폭 정도다. 항공업계에서 탑승 실적에 따른 마일 수인 마일리지(mileage)를 처음으로 적립할 수 있도록 내놓은 곳은 1979년 텍사스항공과 80년 웨스턴항공이다. 종이 쿠폰 방식이었던 걸 컴퓨터에 회원번호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쌓이도록 바꾼 건 81년 아메리칸항공이다. 이후 전 항공사로 확대됐다.

□ 당초 항공 마일리지는 유효기간 없이 평생 원하는 때 쓸 수 있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유효기간을 두기 시작한 건 2008년이다. 마일리지 누적에 따른 충당금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이유였다. 소비자 권익 침해라는 반발이 컸지만 결국 마일리지 유효기간은 10년으로 줄었다. 이에 따른 마일리지 소멸이 2019년 말 다가왔다. 그런데 코로나19로 여행을 할 수 없게 되자 유효기간이 연장됐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는 이런 연장도 끝나 소멸 전 반드시 써야 하는 상황이다.

□ 문제는 마일리지로 예약할 수 있는 항공권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데 있다. 성수기 인기 노선 예약은 불가능한 데다 평소에도 좋은 시간대는 하늘의 별 따기다.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전용 쇼핑몰에서 마일리지를 쓰려 해도 살 만한 상품이 없고 그나마도 품절이다. 합병을 앞두고 제휴사와 잇따라 계약을 해지한 아시아나는 더 심하다. 그럼에도 마일리지를 써야 하는 고객이 몰리며 이젠 접속도 어렵다.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고객 불만이 치솟자 제주 특별기를 띄우고 일부 항공편 잔여석도 마일리지로만 판매하겠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모두 합해 5,000여 석에 불과하다. 3조5,000억 원도 넘는 전체 마일리지 금액에 비하면 새 발의 피다. 여전히 예약대란이다. 생색내기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 저렴한 경쟁사가 있는데도 마일리지를 위해 두 항공사를 고집해온 이들은 배신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두 항공사는 마일리지 자연 소멸만 바라는 눈치다. 합병 승인으로 독점 체제가 되면 횡포는 더 심해질 수 있다. 대국민 사기극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으려면 마일리지 항공권을 대폭 확대하는 게 마땅하다.

연관기사
• 제휴 카드냐, 여객기 탔느냐에 따라 갈린다?… 내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의 운명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2816070001190)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