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로드] "사랑에 빠졌으면"…지자체 주선하는 '청춘 만남', MZ들의 반응은?

입력
기사원문
신정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저출생·혼인율 급감에 미혼남녀 미팅 주선
불교계 동참 등 참가자 경쟁률↑
커플 매칭 성사 후 금전적 지원도
"신원 보증 만남 기대" vs "실제 효과 의문" 반응 갈려
지난 음력 칠월 칠석(8월 10일), 전국 곳곳에서 모인 30대 미혼 남녀 20명이 강원 양양 낙산사에서 '짝'을 찾아 나섰다. '꿈이 이루어지는 성지'로 알려진 낙산사에서 총 여섯 커플이 탄생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이 주최한 단체 미팅 프로그램 '나는 절로' 이야기다.

20명을 모집하는데 무려 1501명이 신청해 70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는데, 오는 11월 백양사에서 진행되는 '나는 절로' 행사에도 총 947명이 지원해 47 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다. 이처럼 특별한 공간에서 이뤄지는 이색 소개팅·미팅에 대한 MZ 세대들의 호응도가 높아지자, 주선에 나서는 지자체나 종교단체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양새다.
▲ 지난 8월 대한불교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이 마련한 '나는 절로, 낙산사' 5기 참가자들이 양양 낙산사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중매 나선 지자체…'1년 안에 결혼하면 300만원' 지원 방침도

연애 시장에 피로도를 느낀 젊은 층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지자체는 연애와 결혼을 장려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 힘을 쏟고 있다. 저출생 대안 및 혼인율 급감에 맞서 이성 간 만남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다.

태백시는 지난해 6월 1박 2일 일정으로 만 39세 이하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미혼남녀를 위한 '청춘 별빛 캠프'를 열었다. 태백시는 결혼에 성공한 참가자에게 300만원(1년 이내 결혼), 200만원(2년 이내 결혼), 100만원(3년 이내 결혼)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부산 해운대구가 지난 5월 마련한 '해운대 랑데부' 프로그램엔 25∼34세 남성 76명, 여성 61명 등 137명이 몰려 3.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해운대구는 참가자의 범죄 경력 회보서, 주민등록초본, 재직증명서, 미혼 여부 확인을 위한 혼인 증명서 등을 확인해 결혼정보 회사 못지않은 신뢰감을 주고자 했다.

경기 성남시가 진행하는 미혼남녀의 만남 프로그램 '솔로몬(SOLOMON)의 선택'에 지난해 참가한 115명이 현재 연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가 지난해 7월~11월 5차례 개최한 행사 참가자(460명)를 대상으로 1년간의 생활·인식 변화 등에 관해 지난 7월 15일~24일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320명 중 36%(115명)가 연애 중이라고 답했다고 지난달 12일 밝혔다.

실제로 연애 중이라고 답한 이들 중 20명은 해당 행사에서 매칭이 성사된 상대방과 만남을 이어가고 있었고, 5명은 조별 뒤풀이 모임 등으로 만난 이들과 연애 중이었다.
▲ 지난 9월 7일 탭퍼블릭 판교점에서 열린 제3차 성남시 '솔로몬의 선택' 행사 모습. 성남시 제공
■ 관심 속 엇갈리는 MZ들의 시선

이처럼 지자체가 발맞춰 전국적으로 확대 중인 미혼 남녀 주선 행사에 대한 MZ 세대의 반응은 엇갈리기도 한다.

대학원생 최모(28)씨는 "쉽게 상대방을 믿을 수 없는 소개팅 앱보다 신원 보증이 가능한 점에서 아무래도 불안함이 적지 않나"라며 "다양한 행사를 비용 없이 즐기면서 진정성 있는 만남을 이어갈 수 있다는 측면은 이색적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프로그램은 참여율이 저조한 상황이기도 하고, 이 같은 대안으로 저출생과 혼인율 급감의 원인을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출생 문제는 사회의 인프라 개선, 지원책 마련 등이 선행되지 않는 이상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책에 실효성이 없다는 의견이다.

직장인 박모(31)씨는 "비혼이나 아이 계획이 없는 이유는 남녀 간 만남의 장이 없어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미팅 행사에 투입되는 행정력과 예산이 청년들의 안정적인 삶을 지원하거나 육아 지원 등에 쓰이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청년들이 만남에 대한 욕구를 해소하는 차원에서는 효과가 있겠지만, 만남과 결혼은 다른 문제"라며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실질적으로 있는지 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고 평가했다.

정 교수는 "공공이 나서는 것은 논란이 있을 것이다. 청년들이 원하는 사업인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지자체별로 상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만남의 장이 필요한 청년들에게는 바우처 지원 등 민간 업체에 맡기는 것도 예산을 절약하는 방법" 이라고 덧붙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