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넘이 보며 한해 마무리 짓고 해돋이 보며 새해 소원빌어요

입력
수정2024.12.22. 오후 10:14
기사원문
박준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남 여수 향일암
원효대사가 창건한 금오산 천년고찰
동쪽 바다 향해 일출 감상하기 최적
좁은 석문 지나 가파른 계단 오르면
수평선 밑 아름다운 낙조도 한눈에
전남 여수 향일암 전망대에서 오후 5시11분에 바라본 일몰. 일몰을 보려면 향일암 대웅전 기준 오른편 등산로로 가야한다. 하늘을 붉게 물들인 해와 산처럼 보이는 섬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김도웅 프리랜서 기자
곧 2024년이 저문다. 지나온 한 해를 돌아보면 뿌듯함과 아쉬움이 교차할 것이다. 저무는 해를 바라보며 마음을 정리할 수 있는 일몰 명소를 안내한다. 5일 전남 여수 향일암으로 해넘이 여행을 떠나봤다. 해넘이를 바라보며 올해의 추억과 아름다운 이별을 해 보자.

남해의 끝자락, 하늘과 바다가 만나는 향일암은 원래 일출 명소로 더 유명하다.

이곳은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선덕여왕 때 ‘원통암(圓通庵)’이라는 이름으로 창건됐고 고려시대에 이르러 윤필대사가 ‘금오암(金鼇庵)’으로 개칭했다. 조선시대 숙종 때 인묵대사가 수평선에서 솟아오르는 해돋이 풍경이 아름답다고 해 그때부터 ‘향일암(向日庵)’으로 부르게 됐다.

향일암의 대웅전(大雄殿). 금오산 중턱에서 동쪽을 향해 자리해 일출 명소로 유명하다.
연말연시엔 해를 보러 향일암에 오는 이가 많다. 여수 인근은 물론 전국에서 향일암을 찾는다. 향일암은 금오산에 있는데, 산 아래에서부터 돌산 갓김치 가판대가 펼쳐진다. 막걸리를 서비스로 주겠다는 상인들을 어렵사리 뿌리치고 걸음을 옮기자 계단이 없는 언덕길과 계단길이 나뉘어 나타난다.

대부분 올라갈 때는 계단을, 내려올 때는 언덕길을 이용한다고 한다. 공영 주차장에서 향일암까지 멀진 않지만 경사가 가팔라 가는 데 힘에 부칠 수 있다. 해를 보기 위한 수양이라고 마음먹으면 버틸 만은 하다.

향일암의 석문.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로 아주 좁다.
“향일암까지 도달하려면 조금 더 가야 돼요. 벌써 지치면 어쩌나.”

등산객의 잔소리를 벗삼아 15분 정도 긴 계단을 오르면 등용문 밑에 여의주가 등장한다. 소원을 이뤄주는 돌이라고 해 사람들의 손때로 표면이 번들거린다. 여의주를 지나면 금방 향일암이 나온다. 깎아내릴 듯한 절벽에 오롯이 서 있는 사찰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듯 고요한 자태를 뽐낸다. 향일암은 관음보살을 모시는 사찰로도 유명하며, 유독 자라 조각이 많다. 일출 보는 방향으로 자라상이 줄지어 푸른 여수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향일암에서 일몰을 보려면 올라가야 하는 샛길 입구.
향일암은 해가 뜨는 동쪽에 자리해 일몰을 보려면 또 다른 장소로 가야 한다. 많은 이가 이를 모르고 그냥 내려온다. 향일암에서 오른쪽 길로 내려가면 자연적으로 생긴 석문이 있다. 향일암에는 석문이 7개가 있는데, 이를 모두 지나면 소원이 이뤄진다고 한다. 석문을 넘으려면 고개를 숙여야 한다. 아마 고개를 숙일 줄 아는 겸손함이 결국 원하는 바를 이뤄준다는 가르침일지도 모르겠다. 경사로를 따라 내려가면 ‘전망 보는 곳’이 샛길처럼 나타난다. 일몰 보는 길의 시작이다. 또다시 무수한 계단길이 펼쳐진다.

향일암 관리인은 “이 계단을 오르면 ‘오죽 힘들다’는 소리가 절로 나와 ‘오죽계단’이라는 별명이 있다”며 “하지만 이를 참고 오르면 형언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일몰이 기다린다”고 설명했다.

일몰을 보러 계단을 오르니 그 이름처럼 ‘죽겠다’는 말이 수시로 나온다. 가쁜 숨을 고르는 것만으로도 벅차 주변 풍경은 둘러볼 여유도 없다. 날이 추운데도 금세 몸은 열기로 후끈해진다. 지치고 지칠 때쯤 드디어 바위 꼭대기가 등장한다. 오후 5시11분.

향일암에서 바라본 남해. 바다를 향해 놓인 큰 바위는 원효스님이 좌선한 자리로 알려져 있다. 김도웅 프리랜서 기자
노을빛에 바위가 옅게 물들기 시작한다. 바위에 올라서자 끝이 보이지 않는 너른 바다와 그 수평선 아래로 지는 붉은 해가 한눈에 들어온다.

남해의 수많은 섬을 산처럼 끼고 저 멀리 해가 저물어간다. 남해의 끝에서 마주하는 일몰은 나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시간이다. 노을은 예전부터 많은 시인의 훌륭한 글감이었다. 기형도 시인은 노을을 “땅에 떨어져 죽지 못한 햇빛”이라 했고, 나태주 시인은 “하느님 나라에도 얼굴 붉힐 일”이 노을이랬다. 바다 끝으로 천천히 내려앉는 붉은 태양은 우리에게 건네는 수고의 한마디 같다. 즐거이, 또는 힘겹게 살아낸 올해가 저무는 해 속에 따스히 녹아내리고, 마침내 찬란한 여운으로 남는다. 향일암에선 일몰제와 일출제를 이달 31일∼2025년 1월1일 연다. 향일암에서 지난해를 보내고, 새로운 해를 맞아보자.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전통주 소믈리에. 술 전문가. 흥미로운 기사 제보는 june@nongmin.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