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총수 일가 계열사 미등기 임원 재직 증가…공정위 "사익편취 면밀히 감시"
대기업 총수 일가가 계열사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일가의 책임 경영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주장과 함께 경영상 책임은 피하면서 사익 편취를 추구하는 행태라는 지적이 동시에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을 발표했다. 공시대상기업집단 88개 가운데 신규 지정 집단 7곳과 농협을 제외한 80개 집단 소속 2899개 계열회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분석했다. 총수 있는 집단 74곳의 계열회사 2753개를 대상으로 총수 일가의 경영참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는 468개(17.0%)였다. 전체 이사 중 총수일가는 6.5% 수준이다. 총수 일가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닌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63개(5.9%)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늘었다. 총수 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의 비율은 하이트진로가 63.6%(11개사 중 7개사)로 가장 높았고 금호석유화학, 중흥건설, 셀트리온, DB 순으로 나타났다.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총수는 평균 2.5개, 총수 2·3세는 평균 1.7개 겸직 중이다. 총수일가의 1인당 미등기 임원 겸직 수는 중흥건설, 유진, 하이트진로·한화·효성·KG 순으로 많다. 총수 일가가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 중인 회사의 절반 이상(54.1%)은 사익편취 규제대상이다. 총수 일가가 등기 임원으로 책임을 부담하지 않고 미등기 임원으로 올라있는 사례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반면 총수일가 1명 이상이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17.0%(468개사)로 2022년 부터 3년 연속으로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사회의 '거수기' 역할도 그대로였다. 이사회 안건 원안 가결률은 99.4%로 전년(99.3%)과 유사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총수 일가가 이사의 30% 이상 등재된 회사에서는 이사회 안건이 모두, 총수 일가가 10% 미만으로 등재된 회사는 안건의 99.3%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80개 대기업집단 344개 상장회사의 이사회 운영현황을 보면 사외이사 비중은 51.1%로 1년 전보다 소폭 줄었지만 과반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은 97.8%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올랐다. 소수주주 의결권 행사 강화를 위해 도입된 주주총회 집중투표제, 서면투표제, 전자투표제 중 한 제도라도 도입한 회사는 88.4%다. 다만 소수주주 이익 보호를 위해 상법으로 도입된 주주제안권은 12건, 주주명부 열람청구권은 6건, 회계장부 열람청구권은 4건 행사됐다. 소수주주권 행사 제도가 총 32건에 그친 것이다. 정보름 기업집단관리과장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사례가 늘어난 것과 관련해 총수 일가의 책임 경영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며 "총수 일가가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총수 일가 미등기임원의 과반이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상 소속이라는 만큼 사익편취 여부 등에 대한 면밀한 감시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 대부분이 원안가결되고 있는 점을 비춰볼 때 이사회 내부 견제기능이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시장 감시가 중요할 것"이라며 "집중투표제, 소수주주권 행사 등 제도 운영 실적이 미미한 만큼 제도 활성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지난해 개인사업자 대출액은 줄었지만…연체율은 팬데믹 때보다 증가
지난해 개인사업자의 평균 대출액이 소폭 줄었지만 연체율은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2020~2021년보다 연체율이 오른 것이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3 일자리행정통계 개인사업자 부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의 평균 대출은 1억7897만원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다.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개인사업자 부채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지난해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은 0.66%로 전년 대비 0.30%포인트 급등했다.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2020년(0.40%), 2021년(0.31%)보다 연체율이 크게 오른 것이다. 연체율은 전년 대비 대출용도별(가계, 사업자), 금융기관별(은행, 비은행) 모두 늘었다. 특히 비은행 대출이 전년 대비 0.65%포인트 오른 1.40%로 집계됐다. 산업별 평균대출은 보건·사회복지업(6억537만원), 농림어업(3억3063만원)순으로 많았다. 1년 전보다 농림어업(12.4%), 운수·창고업(1.3%) 등의 대출이 늘었다. 연체율은 모든 산업군에서 높아진 가운데 건설업(0.58%포인트), 사업지원·임대업과 농림어업 (0.45%포인트) 등의 연체율이 특히 높아졌다. 매출액이 높아질수록 평균 대출도 늘어나는 추세를 나타낸 가운데 매출액 5~10억원 미만(1.7%), 10억원 이상(1.4%)의 대출은 늘었다. 반면 매출이 5000만~1억원(-0.8%)의 대출은 줄었다. 3000만원 미만의 연체율(1.37%)과 상승률(0.62%포인트)가 컸다. 사업 기간기간별 평균 대출은 10년 이상이 2억1699만원으로 가장 많고 3~10년 미만(1억 8458만원), 3년 미만(1억 260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10년 이상 사업자의 대출은 0.9% 늘었지만 3년 미만(-2.9%)과 3~10년 미만(-2.2%)은 감소했다. 연체율은 사업기간 3~10년 미만(0.89%)이 가장 높고, 10년 이상(0.41%)이 가장 낮다. 종사자 유무별 평균 대출은 종사자 있는 개인사업자는 4억178만원, 종사자 없는 개인사업자는 1억 624만원이다. 종사자 없는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은 0.36%포인트 오른 0.69%, 종사자 있는 사업자는 0.10%포인트 오른 0.23%를 각각 기록했다. 나홀로 사장님의 연체 비율이 더욱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
-
-
-
-
노조 조합원수 늘었지만 조직률은 2년째↓…한국노총, 4년 연속 제1노총
지난해 전국 노동조합 조합원수가 늘었지만 조직률은 2년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4년 연속 제1노총 자리를 유지했다. 1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노조 전체 조합원수는 273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명 늘었다. 반면 노조 조직률은 13.0%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은 노동조합법에 따라 설립 신고된 노동조합이 행정관청에 신고한 2023년 말 기준 현황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이 집계·분석한 결과다. 조합원 수가 늘었지만 노조 조직률이 낮아진 것은 조직대상 근로자 증가율이 노조 조합원수 증가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노조 조합원은 1년 전보다 0.5% 늘었지만 조직대상 근로자는 1.5%(32만명) 늘었다. 조직대상 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수에서 노조 가입이 허용되지 않는 공무원·교원을 제외한 숫자다. 총연합단체별 조합원 수는 한국노총 116만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108만6000명, 미가맹 47만9000명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노총은 4년 연속 제1노조 지위를 유지했다. 조직 형태별 조합원 수는 소속 기업과 관계 없이 같은 지역, 업종, 산업 단위 근로자로 구성된 초기업별노조 소속이 162만5000명으로 절반 이상(59.4%)를 차지했다. 특정 기업에 소속된 근로자로 구성된 기업별 노조 소속은 111만2000명(40.6%)이다. 부문별 노동조합 조직률은 9.8%, 공공부문 71.6%, 공무원부문 66.6%, 교원부문 31.4%이다. 사업장 규모별 조직률은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이 36.8%, 100~299명 사업장이 5.6%, 30~99명 사업장이 1.3%, 30명 미만 사업장이 0.1%로 나타났다.
-
저출산에 지난해 육아휴직자 첫 감소…사용률도 대기업 편중
지난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근로자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높아진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역대 최저치를 갱신한 합계출산율이 육아휴직자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는 19만5986명으로 1년 전보다 3.0% 감소했다. 관련 자료 집계를 시작한 이래 육아휴직자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출생아 부모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률은 32.9%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2023년 합계출산율이 0.72명, 출생아수가 23만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출산율 감소가 육아휴직자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부모 모두 육아휴직자가 줄었다. 전체 육아휴직자 중 부는 5만455명으로 전년 대비 4110명, 모는 14만5531명으로 1997명 각각 줄었다. 전체 육아휴직자 중 모는 74.3%로 부(25.7%)의 3배 가량을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모의 연령대는 30~34세가 41.3%를 차지했고 35~39세(33.5%), 40세 이상(15.4%), 30세 미만(9.9%) 순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연령대별 비중은 30~34세(0.6%포인트), 40세 이상(0.5%포인트)에서 높아진 반면 35~39세(-0.6%포인트), 30세 미만(-0.4%포인트)은 낮아졌다. 부는 35~39세가 38.2%로 가장 많았고 40세 이상(35.7%), 30~34세(23.0%), 30세 미만(3.1%)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30~34세(1.3%포인트)와 40세 이상(0.3%포인트)은 늘었지만 35~39세(-1.4%포인트), 30세 미만(-0.1%포인트)은 줄었다. 부모 모두 기업체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소속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아빠 10명 중 7명(70.0%)은 300명 이상 기업체에 소속돼 있었다. 엄마 역시 10명 중 6명(58.4%) 가량이 300명 이상 기업체 소속이다. 산업별로 부는 제조업(22.4%)이 가장 높았고 모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4%)가 가장 많았다. 시도별로는 경기(5만7718명), 서울(3만6310명) 순으로 많았지만 제주(3004명)와 세종(3585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지난 2014년에 출산해 2023년까지 1자녀만 둔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번 이상 사용한 부모의 경우 모는 자녀 나이 0세(83.5%), 부는 7세(17.9%)에서 육아휴직 사용 비율이 가장 높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