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친 러시아도, 중국산 ‘덤핑’ 자동차는 못 참는다

2025.01.02. 오후 5:24

※체리차가 판매하는 티고 7 프로. 출처:CHERRY

전 세계가 중국산 전기차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었던 서방 진영 국가를 중심으로요. 그래서 미국은 100% 관세를 매기기로 했고. 유럽은 이미 7.8~35.3%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죠. 서방의 완성차 기업도 미래를 선점한 중국의 뒤꽁무니라도 따라가려고 안간힘이고요.

그렇다면 내연기관차는 괜찮을까요? 전기차가 미래라지만, 여하튼 현재 주류는 내연기관차니까요. 현대기아차나 독일·일본·미국의 완성차 기업이 아직은 내연기관차 시장은 꽉 잡고 있긴 합니다만. 최근 중국의 약진이 심상치 않습니다. 러시아나 중동, 남미 등 저개발국가를 중심으로 과잉 생산 체제로 무장한 ‘덤핑’ 중국 내연기관차가 빠르게 시장을 잠식하고 있으니까요. 심지어 중국산 값싼 내연기관차 공급에 절친 러시아마저 시쳇말로 ‘빡’이쳐서, 그림자 관세장벽을 세울 정도로요.

오늘 ‘언더스탠딩(Understanding)’의 주인공은 중국 내연기관차, 그리고 러시아입니다. 중국 전기차가 아니고요. 러시아는 왜 중국 내연기관차 때문에 빡 친 건지. 중국은 왜 절친의 뒤통수를 후려친 건지. 러시아와 중국만의 일인 것인지. 우리가 걱정할 건 없는지 등등을 따져보겠습니다.

러시아 1등은 현대·기아차였는데

우선 첫 번째 의문. 러시아는 왜 중국 내연기관차에 화가 났나. 러시아는 세계 10대 자동차 시장 중 하나입니다. 2012년 신차 판매량이 292만대나 될 정도로 컸는데. 물론 그 뒤로는 계속 쪼그라들고 있긴 합니다. 2021년 기준 신차가 150만대 정도 팔렸는데요. 당시만 해도 현대·기아차가 폭스바겐, 르노, 도요타 같은 서방 진영의 완성차 기업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2021년 기준 시장 점유율을 보면. 현기차가 24.4%로 1위였고요. 폭스바겐이 13.3%, 르노가 8.2%, 토요타는 6.1%, 닛산이 3.1%를 시장 점유율을 보였습니다. 이들만 해도 시장 점유율이 55.1%. 다른 완성차 브랜드까지 더하면 거의 70%가량을 서방이 쥐고 있었던 겁니다. 물론 라다라는 현지 브랜드가 22.4%로 현기차를 바짝 쫓고 있었습니다만. 라다는 아브토바즈(Avtovaz)라는 러시아 국민차 기업과 르노가 합작해서 만든 브랜드입니다. 그래서 아브토바즈는 르노의 자회사이기도 했고요. 그것까지 더하면 러시아서 팔리는 자동차의 90%가량에 서방의 손길이 묻어 있었던 셈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호랑이 새끼' 중국 부른 러시아

그리고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죠. 러시아 자동차 시장도 대변혁이 일어나는데요. 시장을 장악했던 서방진영의 완성차 기업이 다 철수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러시아가 이런 계획을 세우죠. 서방이 빠져나간 시장을, 러시아 토종 기업으로 채우겠다고. 단계적으로요.

①가장 먼저 한 게 공장을 거저먹는 거였습니다. 르노가 들고 있던 라다 지분을 일단 다 건네받았고요. 르노의 공장도 단돈 1루블에 삽니다. 닛산은 공장 1유로에, 현기차도 1만루블에 팔아야 했습니다. 물론 대부분 바이백 옵션이 걸려 있긴 합니다. 현기차도 2023년 12월부터 2년 안에 공장을 되살 수 있고요. 그 기한 안에 전쟁이 끝나야 의미가 있는 조항이긴 합니다만.

근데 공장 있다고 좋은 차를 만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내연기관 엔진이나 자동변속기 같은 핵심 부품들도 만들 수 있어야 하는데, 러시아는 그럴 능력이 없었습니다. ②그래서 중국 완성차 기업을 불러옵니다. 공장은 넘쳐나니까, 니들이 부품산업 들고 들어와서 자동차 팔아서 돈 벌라고. 그렇게 시간이 흐르면 자동차 산업을 온전히 내재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목표는 2022년에 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40%, 2035년까지 83%로 늘리는 것!!

9%에서 61%로... 2년 새 러시아 장악한 중국차

근데 2년 지나고 봤더니, 중국산 자동차만 판을 치더라는 겁니다. 체리차나 창청차(GWM), 지리차, 창안차 등이 만든 내연기관차가 시장을 잠식합니다. 2021년 9%에 불과했던 중국차의 시장 점유율이 불과 2년이 지난 2023년 61%로 급증했을 정도. 체리차 같은 경우엔 같은 기간 매출이 800%나 증가합니다. 반대로 아브토바즈 같은 러시아 토종 브랜드의 매출은 거의 반 토막이 나고요.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호랑이 새끼를 불러들인 격인데요.

많이 본 콘텐츠

전일 00시~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