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와 함께할 우리의 미래 상상하기

2024.12.31. 오전 8:30

지난 글에서 GPT 출시 후 2년의 역사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우리는 조금식 현업 업무에 AI를 활용하기 시작했고,

앞으로 점점 더 많은 변화를 겪게 되겠죠.

이번 글에서는 AI로 인해서

우리의 업무가 어떻게 달라질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생각해봅니다.

Human vs AI 각자의 장점 이해하기

1) 인사이트 vs 대량 데이터 처리

인간은 인사이트에 강하죠.

흩어져 있는 정보 속에서도, 많은 정보 속에서도

통찰을 발휘해서 핵심을 파악하고 연관성을 파악합니다.

하지만 대량 처리에는 약하죠.

글을 읽으려면 시간이 필요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려 해도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더 많은 데이터는 더 많은 시간 소모를 의미하고,

그래서 우리는 적당한 양의 데이터에 만족해야만 하죠.

경쟁사 동향 분석을 위해 5천 개의 뉴스 기사를 읽을 수는 없겠죠.

그건 꼬박 1주일이 걸리는 일이니까요.

우리는 항상 바쁘고 말이죠.

그래서 경쟁사 뉴스도 딱 2백 개만 읽습니다. 그게 현실적이죠.

시간이 부족하면 2백 개, 시간이 많은 사람은 3백 개,

야근까지 했다면 5백 개, 주말 특근까지 열심히 한다면 1천 개를 읽을 수 있겠죠.

하지만 AI가 파이썬 코딩을 해서 뉴스 크롤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주고

GPT API를 연동해서 뉴스 기사의 핵심만 요약하고 필요 정보만 추출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사람은 칼퇴근을 했지만 수천 개 수만 개의 뉴스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도 가능하겠죠.

그렇게 추출되고 요약된 정보를

사람이 읽어보고 거기서 인사이트를 발휘하는 건 어떨까요?

우리가 직접 자료를 찾고 읽을 때,

대충 일하는 사람과 열심히 일하는 사람의 업무량과 속도 차이는 고작 몇 배 정도 나겠지요.

하지만 AI을 툴을 쓰느냐 마느냐의 차이로 인해

인간의 업무 속도는 이제 열 배, 백 배 차이가 날 수도 있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어차피 다들 AI 입문자이고 초보자인 세상이지만

앞으로 몇년간 AI를 얼마나 연습하냐에 따라서

나중에는 AI를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업무 속도는 열 배, 백 배 차이가 나게 될겁니다.

2) 데이터의 핵심 vs 다다익선 모든 데이터

더 많은 데이터는 더 많은 처리 시간과 분석 시간을 의미하기에

우리 인간은 너무 많은 데이터를 좋아하지 않아요. 감당이 안 되니까요.

그래서 항상 결론만, 핵심만 정리하려고 하죠.

그래야 나의 처리 시간, 분석 시간은 아낄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대시보드를 좋아합니다.

담당자 한명만 열심히 고생해서 데이터의 결론만 예쁘게 정리해서 그걸 공유하죠.

그럼 공유 받은 수십 명, 수백 명은 자기의 시간을 아낄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 대시보드는 정말로 충분한 데이터인걸까요?

raw data에서 뽑아낼 수 있는 최선의 결론이고 최고의 의미였을까요?

이 대시보드를 보고 나서 추가로 궁금한 게 생기면 어쩌죠?

  • 제품별 영업 이익은?

  • 지역별로 잘 팔리는 제품의 차이는?

  • 유통채널별 매출액이 아니라 영업이익은?

  • 지역별로 유통채널에 차이점이 혹시 있었는지?

아마도 raw data를 가지고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를 해야겠죠.

그럼 추가 분석해보고 며칠 뒤에 답변을 주겠다고 하겠죠.

나는 지금 당장 궁금하지만, 뭐 어쩔 수 없이 기다려려야죠.

그 담당자 분이 고생해서 다음주에 추가 분석 데이터를 제공해주면 나는 행복할까요?

아마 나는 또 다른 일로 바쁘겠죠. 그래서 추가 데이터는 내 이메일이나 PC 어딘가에서 잠자고 있겠죠.

기업에서 조직에서 분업, 역할분담, R&R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소통의 과정, 불연속성, 비-실시간성, 순차적 업무, 대기와 지연

이건 어쩔 수 없는 일이고,

분업이 세분화 될 수록, 더 큰 조직일수록 이 비효율은 점점 더 커지죠.

그래서 그 옛날부터 내려오는 관료제에 대한 비판이

사람이 3배로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업무처리량은 고작 몇 십% 정도밖에 늘지 않는다는거죠.

그런게 바로 이런 분업과 소통의 비효율성 또한 함께 증가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이걸 극복해보고자 우리는 많은 데이터 분석 툴을 활용합니다.

태블로 같은 데이터 시각화 툴을 사용해서 이렇게 멋진 대시보드를 만들죠.

파워BI 같은 툴을 써서 시각화도 하고,

클릭 몇번이면 대시보드가 실시간으로 휘리릭 변하며 다른 데이터도 보여주도록 합니다.

물론 태블로 배우고, 파워BI 배우느라 많은 시간을 공부해야 합니다.

한 명의 리더가 예쁜 시각화와 실시간 대시보드를 보기 위해서

여러 명의 실무자가 이 업무 툴을 배우고 숙달해야 합니다.

거의 모든 LLM 모델은 코딩을 잘하고,

일부 LLM은 코디 실행 환경도 제공하죠. GPT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요.

그리고 구글 코랩에서는 파이썬 실행이 무료이고,

코드를 구글 코랩에 보관해두면 다음 번엔 클릭 한번으로 자동화도 가능하죠.

파이썬은 물론 누구에게나 무료인 오픈소스이고, 언제든지 내 PC에 실행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요.

즉,

누구나,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즉시

GPT를 이용해서 나만의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다는거죠.

raw data만 있다면 그저 AI에게 자연어로 몇마디 하면 끝이니까요.

  • 매출액을 지역별로 내림차순으로 정리해줘

  • 유통채널별로 제품별 판매량을 파이 챠트로 그려줘

  • 유통채널별로 특정 제품의 영익이익율을 시각화해줘

이건 회의록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마찬가지에요.

굳이 누군가가 회의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냥 회의 내용 full script를 공유하면 어떨까요?

그리고 각자 자기 부서의 회의록은 AI를 활용해서 각자가 작성하는거죠.

모두를 위한 두루뭉술한 회의록이 아니라,

우리 팀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 팀 입장에서 작성된 회의록을 만드는거죠.

신입 사원 온보딩으로, 또는 내부 전문가의 역량을 전수하기 위해

OJT, 직무 교육 등등이 많이 진행됩니다.

아주 많은 우리 직원들이 아주 여러 번 교육을 진행하죠.

교육 참가자의 머리 속에 마음 속에 얼마나 이해가 되고 기억이 될까요.

그 비율은 낮지만 그래도 꾸준히 교육은 진행하죠. 더 좋은 방법이 없으니까요.

만약 교육 내용 full script가 공유되면 어떨까요?

교육도 듣고 이해도 암기도 열심히 하겠지만,

교육생이 만약 full script를 갖게 된다면요?

그래서 한 달 뒤에도, 일 년 뒤에도 언제든지 다시 들을 수 있고,

text로 변환된 강의 내용을 보면서 관련된 부분을 편하게 찾을 수 있고,

전체 내용을 요약시키는 것도 되고,

내 기억이 가물가물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질문을 하면 AI가 찾아서 관련 내용으로 답변을 해주고,

게다가 유사한 주제로 강의를 했던 여러 강사들의 강의 스크립트를 모두 가지고 있다면요?

분명 교육 내용의 단순 리마인드부터, 필요 내용 탐색, 추출, 요약, 응용, 재활용까지

교육의 효과가 훨씬 극대화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상상해 보는 우리의 미래

1) 데이터 확보

AI 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우리의 업무 데이터를 쌓아야 합니다.

많이 본 콘텐츠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