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몸과 정신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 후생유전학

2025.01.03. 오전 8:00

아들 녀석을 나무랐다. 혼낼 짓을 했으니 당연하다고 생각했으나 이내 마음이 쓰라렸다.

내가 너무 흥분해있지는 않았었나(당연히 그랬다)해서다. 그렇게 되면 말의 내용은 논리를 갖췄어도 음성과 눈빛에 실린 격한 감정에 가리워진다. 결국 아이에게 상처만 남는다.

부친 역시도 조금 다혈질이셨다. 아들 녀석이 지 엄마에게 이리 말한단다. “내가 아빠 닮아서 그래. 성깔이..”.

13세 놈이 하는 말이 지 애비와 어찌 비슷하다. 이것도 유전인가보다.

그런데 이런 생각을 잠시 해봤다. 46개의 DNA분자가 가진, 약 2만여개의 유전자 어딘가에 있는, 그 몹쓸 ‘욱’유전자는 나의 족보상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다윈의 자연선택설에 의거한다면, 두 가지다.

아주 먼 옛날 그 ‘욱’하는 성격 때문에 생존할 수 있어서 대를 잇게 한, 조상이 있었거나 아니면 모두들 유순하여 곰탱이라 불러도 좋을 조상들 틈에 ‘욱’유전자를 가진 돌연변이가 태어났거나.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라는 말이 참이라면 그 이론적 배경은 ‘획득된 형질은 유전되지 않는다’라는 현대 진화론일 거다. 바꿔 말하자면 목이 짧은 기린이 긴 나무에 열린 열매를 따 먹기 위해 목 스트레칭을 대대손손 열나게 하다 보니 긴 목으로 진화되었다는,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반박하는 이론 말이다.

출처 : httpswww.yaclass.in

그런데 최근 이에 위배되는 연구들이 여기저기서 나타난다.

2014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하버드 의대 및 캠브리지대 공동연구진의 생쥐 연구를 보자.

암컷 생쥐들이 임신 기간 동안 영양이 부족한 환경을 겪게 되면, 그 암컷들에서 태어난 새끼들은 정상 암컷에서 태어난 새끼들보다 낮은 몸무게와 대사질환을 갖고 태어난다고 한다.

흥미로운 점은 엄마 생쥐(1세대)의 영양실조는 배 속의 새끼들(2세대) 중 수컷의 정자 내 유전자들에 유전적 각인을 새긴다는 거다.

쉽게 말해서, 대를 이어도 원래의 DNA에는 변화가 없지만 생식세포에는 후천적 경험이 새겨져서유전이 된다는 말이다.

이렇듯 생물체 생식세포의 유전자 서열에는 변화가 없었음에도 유전자 정보의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정교한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학문이 후성유전학 epigenetics이라 한다.

후생유전학을 살피다 보니 희망이 생겼다.

‘타고난 인성은 바꿀 수 없다’는 유전자의 불가역성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후천적 노력을 통하여 얻어낸 훌륭한 성품(사실 잘 참아내기)이 유전될 수 있다니 말이다.

그런데 반대로 생각하면 끔찍하다.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고통으로 트라우마를 겪던 이들은 그 비극을 후대에까지 넘겨줄 수 있다는 말 아닌가.

그냥 소시민의 작은 자리에서만 생각해도 그렇다. 내가 아들 녀석에게 어떤 이유에서라도 상처와 아픔을 준다면 그건 그 아이만의 고통이 아니라 그 녀석의 자녀들 그러니까 나의 손주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겠구나 하는.

그래 내 몸과 정신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PS 변화를 동반한 계승 descent with modification

‘진화’라는 말. 우리가 보통 '앞으로 점점 개선 또는 발달된 양상으로 나아감’의 뜻으로 자주 쓰는데, 진화론적 입장에서 진화evolution의 정의는 ‘환경에 적응한 개체만 살아남아 대를 잇는 것’ 즉 자연선택설을 말한다.

그래서 늘 헷갈리게 되는 일이 있다. 원숭이로부터 호모 사피엔스로 발전해 나가는, 그 유명한 그림 또는 목이 짧았던 기린의 목이 점차 길어지는, 용불용설을 설명하는 그림과 딱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오죽 했으면, 다윈의 ‘종의 기원’을 번역한 장대익 교수가 방송에서 (이 그림이 넘쳐나는) 구글을 폭파하고 싶다는 농담을 했을까.

출처 : 유투브 JTBC 딥다이브

진화에 해당하는 원어 이볼루션evolution은 ‘말아 올린 것을 펼친 것 an opening of what was rolled up’이라는 뜻의 라틴어 evolutionem(명사형 evolutio)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찰스 다윈은 그의 저서 ‘종의 기원’(1859)의 마지막 단락에서 단 한 번만 이 단어를 인쇄물로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진화 evolution’ 대신에 ‘변화를 동반한 계승 descent with modification’이란 말을 썼다고 한다. 장대익 교수도 이를 강조했다.

하지만 ‘변화를 동반한 계승’은 ‘변화'도 '계승도’ 되지 않았다. 서구나 우리나 evolution과 진화라는 용어를 보편적으로 쓰고 있어서다. ‘다윈의 진화론’ 이렇게까지.

해당 콘텐츠는 프리미엄 구독자 공개(유료) 콘텐츠로 무단 캡쳐 및 불법 공유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무료로 제공중입니다.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나요?

知수다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 )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