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성서, '욥기' - 밀턴의 <실낙원>

2024.12.16. 오전 10:36

철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성경을 신앙의 텍스트로 취급할 수만도 없다. 그 텍스트의 안과 밖을 연계하고 있는 조건들이 유럽의 사상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잔혹할 정도로 기독교에 대한 비판을 퍼부은 니체이지만, 유일한 기독교인은 그리스도 자신이라 했을 정도로, 그리고 정신병이 앓기 시작한 이후 그 자신이 그리스도의 환생이 아닐까를 의심했을 정도로, 그리스도에 대해서는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니체에겐 바울서부터가 문제다. 그리스도의 후학들에 의해 기독교가 정치적으로 왜곡이 되었다는 것.

이런 연유로 니체는 신약이 혐오스럽다며 장갑을 낀 채로 집어 들어 페이지를 넘겼다고 한다. 그 혐오스러운 걸 그렇게라도 읽었다는 사실 자체가 인문학적 의의를 반영하는 사례인지도 모르겠다. 그에 반해 구약은 니체도 그 풍요로운 인문학적 요소들을 인정하는 바이다.

<욥기>는 이스라엘인들에게만 국한된 이야기도 아니며, 무게중심이 신보다는 인간에게 쏠려 있다. 부유하지만 경건한 사람이었던 욥은 사탄의 시험으로 가족과 재산을 모두 잃는 고난을 당한다. 그런데 과연 사탄이 욥이 겪어야 했던 재앙의 원인이었을까? 아니면 욥의 결과로 사탄이 다가온 것이었을까? 사탄은 신의 시험으로 다가온 신의 사자인 것인가? 그렇다면 사탄은 신과 협력의 관계인가? 욥은 그 신실함으로 인해 시험의 대상으로 선택받은 자인가? 아니면 저 자신은 경건하다고 생각하나, 실상 생각보다는 신실하지 못해 사탄을 맞닥뜨린 것일까? 그렇다면 사탄은 신이 내린 형벌인 것일까?

결국엔 시험을 견뎌내고, 잃었던 것들을 모두 되찾은 욥은 신에게 묻는다. 왜 때로 선한 사람이 고난을 당하고, 악한 사람에는 운이 따르는가에 대하여…. 신의 대답은 질책의 성격이었다. 네가 신도 아니면서 내 마음을 어찌 아느냐는 식의…. 그리고 다소 엉뚱하게 신 자신의 전능함을 늘어놓는다. 나는 이런 것도 할 수 있다는 식의…. 결국엔 섭리는 신 스스로가 알아서 할 일이고, 인간의 지평으로는 결코 이해시킬 수 없다는 이야기.

프리미엄 구독자 전용 콘텐츠입니다.

글쓰는 편집장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