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중독,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내년 예정된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 개정 전망과 대책

2024.12.18. 오후 3:18

내년 2025년도(26년 시행) 예정된 제9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개정(KCD-9)에서 게임이용장애(게임중독)를 질병으로 등재하느냐를 두고 게임업계와 의료계, 그리고 수험생을 둔 가정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적으로 크게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 상황은 문체부와 보건복지부의 의견 대립이 있는 가운데 국무조정실이 올해 7월 17일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여부는 아직까지 결정된 바 없습니다’라는 제목의 보도설명자료를 낸 이래 아직 명확한 입장을 내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미 지난 2019년 제72차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총회에서 게임이용장애가 포함된 ICD-11(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보건복지부 주도로 KCD-9에 질병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조금 더 높아 보인다.

필자의 경우 명문대 의대를 지망했던 조카가 게임중독으로 대입 시험을 그르친 경험을 보면서 문제의 심각성을 직접 실감한 적이 있다. 중독이었다. 아이의 엄마는 게임에 중독된 아들을 보면서 그야말로 ‘피눈물’을 흘렸다. 아무리 산업적으로 위축을 가져온다지만 전 세계적으로 게임을 질병으로 취급하는 트렌드를 거역하기 힘들다. 또 구체적인 피해자를 외면할 수도 없다.

다만 게임이용장애가 정신질병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중독, 정신질병과는 다른 측면이 많기 때문에 달리 취급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오래전에 고 신해철 씨는 게임중독에 관해 의견을 내면서 “게임중독은 약물중독과는 다르다”며 “게임중독자들이 생겨나는 원인은 게임 밖의 세상이 거지 같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신해철 씨의 주장을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가수 고 신해철 씨가 게임중독에 대해 '게임이 문제가 아니라 사회가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에 '이행대상(transitional objects)' 이라는 이론과 개념이 있다. 유아기 때 아이는 엄마와의 관계에서 허기를 느끼고 엄마에게 원한다는 신호를 보내면 엄마로부터 젖을 얻고 전능한 자기만족을 경험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 아기는 욕망이 지연되고 엄마와 자기가 분리되어 있음을 느끼고 좌절하게 된다. 이윽고 아기는 다른 방법을 통해서 욕망의 일치, 대리만족을 추구한다. 입에 넣고 빨아대는 손가락이나 특정한 장난감이 이행대상이다.

이것은 일종의 투사다. 실현될 수 없는 욕망의 대상을 외부의 다른 대상에 부여해서 상상을 하며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고 전능성을 회복한다. 그 상상을 통해 자신의 수동성을 극복하고 창조성과 주체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의 이행대상은 게임중독, 즉 게임이용장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게임에 '빠지는' 사람은 현실에서 자기의 욕망의 좌절을 느낀 사람이다. 소외를 느낀 그는 주체성과 만족을 회복하기 위해 이행대상을 찾는다. 어떤 누구에게는 그 이행대상이 게임이다.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