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같은 지방 공항인데 다르네"…콘크리트 둔덕 없는 대구 공항 보니

무안, 흙으로 쌓은 둔덕 속 콘크리트 구조물

"이번 참사 계기로 로컬라이저 시설물 설치 규정 정비해야"

대구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모습. 연합뉴스대구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모습. 연합뉴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추락한 여객기 참사의 원인중 하나로 ‘콘크리트 둔덕’이 거론된 가운데 무안국제공항과는 다르게 대구국제공항 착륙유도장치(로컬라이저)는 평지에 설치돼 안전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31일 한국공항공사 대구공항 등에 따르면 대구공항에는 로컬라이저가 세 곳에 설치됐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의 착륙을 돕는 시설로 활주로의 진입하는 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방위각 지시 장치라고도 불린다.

대구공항의 경우 지면 위로 노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평탄면 위에 이 시설이 설치됐다. 로컬라이저를 지지하는 시설물은 지면 아래에 묻혀 있다.

대구공항 관계자는 "집을 짓는 경우 땅을 파 기초작업을 한 뒤 그 위에 세운다"며 "장비(로컬라이저)도 마찬가지로 고정하기 위해 기초작업 후 나사 같은 걸 박아서 로컬라이저를 설치한다"고 설명했다.



항공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의 경우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 위에 이 장비가 세워졌다. 국내외 항공 전문가 등은 이번 참사의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콘크리트 둔덕을 지목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대구공항 관계자는 "대구공항은 평평해 지면위에 (이 시설을) 설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여수공항, 청주공항, 포항공항의 로컬라이저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구성됐다.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와 인터뷰에서 "무안공항 둔덕 설치는 범죄행위에 가깝다"며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는 분석을 내놨다.

데이비드는 "비행기는 착륙 당시 시속 200마일(321㎞)의 속도를 내고 있었다. 활주로를 미끄러지며 이탈했는데, 이때까지도 기체 손상은 거의 없었다. 이 둔덕에 부딪히기 전까지는 말이다"고 말했다.

그는 "조종사가 처했던 상황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최상의 착륙을 했다고 본다"며 "착륙 활주가 끝날 무렵 기체엔 큰 손상이 없었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항공기가 둔덕에 부딪혀 불이 나면서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가 언급한 둔덕은 로컬라이저 안테나(항공기 착륙을 유도하는 시설)가 설치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로컬라이저는 보통 활주로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지만, 무안공항에선 흙더미 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됐다.

데이비즈는 "저런 구조물이 거기 있어서는 안 된다.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 있지만 저렇게 단단한 구조물 안에 박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둔덕 너머는 평평한 지형이다. 항공기가 조금 더 달려가면서 속도를 줄여 멈출 만한 공간은 충분했고, 그렇게만 됐다면 모두 살아남았을 것"이라며 "활주로와 불과 200m 거리에 저런 둔덕이 있다는 건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
  翻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