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족이 진료실에서 상담을 받고 있었다. 의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앓고 있는 A군(7)이 지시 수행 능력이 좋아졌다며 칭찬했다. 부모는 기뻐했다. 그러자 옆에 앉아있던 A군의 동생 B양(5)이 말했다. “나는 저런 것들 한참 전부터 다 잘했는데….”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천근아 교수가 전한 진료실 일화다. 천근아 교수는 “비장애인 형제는 소외감, 피해 의식, 질투, 죄책감, 두려움 등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감정을 어릴 때부터 겪는다”고 했다.
장애인을 형제로 둔 비장애인 형제는 부모보다 더 오랜 시간 장애인 형제를 보살핀다. 그래서 상당수 비장애인 형제는 행동과 생각이 어른 같은 아이인 ‘애어른’으로 자란다. 발달장애인인 남동생과 오랜 기간 함께할 수 있다고 생각해 특수교사가 된 유인비(36)씨는 “어른들이 비장애인 형제를 보면 성숙하고 철이 들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가정이 장애인 형제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장애가 없는 자녀는 자연스럽게 어른 같은 아이로 자라게 된다”고 했다. 비장애인 형제 자조 모임 ‘나는’을 조직한 이은아(34) 대표 역시 “비장애인 형제는 장애인 형제를 위해 애쓰는 부모를 바로 옆에서 지켜보면서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착한 아이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비장애인 형제가 성인이 되고 부모는 나이 들어가면서 부모가 겪던 장애 형제의 경제적인 돌봄 부담은 비장애인 형제에게 전가된다. 이은아 대표는 “아직 사회 환경은 장애인이 자립하기 어려운 실정이다”며 “비장애인 형제 본인이 스스로 느끼는 책임감뿐 아니라, 부모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비장애인 형제에게 심리적 지지를 요구하게 돼 더 큰 돌봄 부담을 느낀다”고 했다. 특히 비장애인 형제가 가정을 꾸린 후 부담이 극대화된다. 성신여대 교육학과 이정은 교수는 “안 그래도 책임감을 느끼는 비장애인 형제에게, 돌봐야 하는 가정의 범주가 늘어나는 것”이라며 “부모와 형제는 물론 새로 생긴 자신의 가족과 장애인 형제의 가족에 대한 돌봄까지 중첩되는 부담을 떠안는다”고 했다.
이들의 부담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국회의원실에서 2022 발달장애인을 형제로 둔 43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발달장애인 가족 열 명 중 여섯 명은 자살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평생 발달장애 가족를 지원해야 하는 부담감’이 56.3%를 차지했고, ‘발달장애 가족 지원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이 31.1%로 뒤를 이었다.
이정은 교수는 “비장애인 형제 대상 프로그램은 피상적 수준”이라며 “일회성에 그치거나 장애인 가족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했다. 부족한 프로그램은 그마저도 수도권에 편중돼 있다.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역시 비장애인 형제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지만, 서울을 비롯한 큰 도시에 국한됐다. 이정은 교수는 “비장애인 형제의 심리를 돌보기 위해서는 연령대나 가족 상황에 맞게 개별적인 케어가 이뤄져야 한다”며 “비장애인 형제를 둔 다른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공감과 위로를 얻는 자조 모임을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노력으로도 일상 생활에 무리가 갈 정도로 ▲무기력하고 ▲체중이 늘거나 줄고 ▲식욕이 늘거나 줄고 ▲잠이 늘거나 주는 등의 변화가 지속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한양대병원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김인향 센터장은 “실제로 비장애인 형제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우울·불안·불면 등의 수치가 높았고, 자살 사고 비율 역시 일반 아이들에 비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여럿 있다”고 말했다. 연세나무정신건강의학과의원 김현진 원장은 “비장애인 형제가 아직 학생이라면 학교에서의 생활 변화를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부모의 양육 태도도 중요하다. 천근아 교수는 “부모 입장에서는 발달장애 자녀의 돌봄에 전력을 다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비장애인 형제가 겪는 소외감·피해의식·질투·죄책감·두려움 등의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감정들을 공감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비장애인 형제에게 장애인 형제가 공격적이거나 상처를 주는 행동을 한다면, 이를 절대로 용인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김인향 센터장은 “무엇보다 부모 스스로의 정신 건강을 챙기는 것도 중요하다”며 “주양육자가 정신적으로 건강해야 자녀 모두 정신적으로 건강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