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여파에… 국내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신약 출시 영향 없을까?

입력
기사원문
정준엽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에 지사를 둔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번 비상계엄의 여파에 주목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어느덧 일주일이 지난 현재,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는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환율 급등으로 글로벌 임상시험 진행과 원료의약품 수입이 어려워졌으며, 올초부터 의정 갈등이 계속돼 신약 연구·개발·영업에도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자연스럽게 "국내에 지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신약·백신 국내 출시 계획에도 타격이 있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내년 중 출시를 예고한 의약품 중 당뇨병·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블록버스터 의약품도 포함돼 있기 때문. 이번 계엄 사태가 글로벌 제약사들의 신약 국내 출시·공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알아봤다.

확정된 사항 없지만… 신약, 공급 부족 가능성 배제 어렵다
취재를 종합해보면, 일단 내년 중 한국 내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출시 일정 연기에 관한 내용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백신의 내년 출시를 앞두고 있는 A제약사 관계자는 "공식적인 부분들은 추가 확인을 해 봐야 알 수 있다"며 "당장 계엄 때문에 차질이 있을 것이라고 입장을 전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호흡기 질환 예방주사의 출시를 앞두고 있는 B제약사 관계자 또한 "현재 국내 상황에 대한 흐름은 당사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면서도 "출시 연기 관련 내용은 아직 별도로 공유받은 게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계엄 사태는 신약의 물량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향후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제품의 경우 대다수가 주사 제형의 바이오 의약품 또는 백신·항체주사다. 특히 바이오 의약품은 경구용 화학 합성 의약품 대비 생산 공정에서 더 높은 정확성이 필요하며, 제제 자체의 안정성도 높아야 한다. 때문에 생산 물량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의 경우, 전 세계 지사의 의약품 공급 물량을 결정하는 권한은 본사에 있다. 업계에 따르면, 본사는 물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지사가 위치한 나라의 시장 안정성, 예측 가능성, 시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이때 올해 국내에서 발생한 의대 정원 갈등, 계엄 사태, 신규 병원 방문 환자 수 감소 등 여러 이슈가 불확실성을 키워 수요가 높은 의약품의 공급 우선순위가 뒤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 업계에서는 한국의 현 상황이 어떻게 될지에 대한 문의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뇨 치료제 출시를 앞두고 있는 C제약사 관계자는 "글로벌 본사가 전 세계에 물량 공급을 할 때 그 나라 시장의 안정성이나 예측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우리나라는 올해 의대 정원 이슈, 계엄, 병원 신규 환자 수 감소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았다"며 "생산량이 정해져 있는 만큼, 한국이 의약품 물량 공급에서 후순위로 밀릴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계엄 사태가 공급 차질·출시 연기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출시 차질 생긴다면, 매출 하락 가능성 있어… 3~6개월 지속될 수도
이는 국내 지사 입장에서 볼 때, 의약품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만약 출시에 실제로 영향이 생긴다면 의약품 매출에도 영향이 좀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정확한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운 단계"라며 "출시가 밀리는 기간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 상황·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C제약사 관계자 또한 "출시가 몇 월에 되느냐에 따라서도 마케팅 계획이 달라진다"며 "만약 공급이 늦어져 출시가 지연된다면 비즈니스에도 영향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러한 불확실성 이슈는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 정도 여파가 지속될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계엄뿐만 아니라 탄핵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탄핵안이 가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 만큼 적어도 3~6개월의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며 "이러한 부분들 때문에 6개월 정도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