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사려구요"…퇴직연금 중도인출 28%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2023 퇴직연금 통계'
중도인출 3만명…4년만에 증가세
연금 적립금 381兆 '역대 최대'
중도인출 3만명…4년만에 증가세
연금 적립금 381兆 '역대 최대'
지난해 주택 구입을 위해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사람이 3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대 규모다. 고금리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자 노후 종잣돈을 헐어 집을 장만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3년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퇴직연금 중도인출자는 2022년 4만9811명에서 지난해 6만3783명으로 28.1% 증가했다. 중도인출액은 1조7429억원에서 2조4404억원으로 40.0% 불어났다. 중도인출 인원과 금액은 2019년 이후 해마다 감소했는데 4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택 구입을 위한 중도인출자(3만3612명)가 52.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년 전보다 44.7% 증가한 수준으로, 2015년 통계 작성 후 최대 규모다.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 금액도 전년 대비 56.9% 증가한 1조5217억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고금리 영향으로 대출받기 어려운 사람들이 퇴직연금으로 쌓아둔 돈을 주택 구입에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27.5%), 회생 절차(13.6%) 등이 퇴직연금 중도인출 주요 사유로 조사됐다. 20대 이하는 전월세 보증금 등 주거 임차를 위한 중도인출이 가장 많았다. 30대 이상 연령대에선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 인출 비중이 높았다.
지난해 퇴직연금 총적립금은 전년 대비 13.9% 증가한 381조원에 달했다. 퇴직연금을 도입한 사업장은 43만6535개로 전년(43만6348개)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퇴직연금 가입 근로자는 2.8% 증가한 714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는 확정급여형(DB) 비중이 53.7%로 가장 높았다. DB형은 가입자의 퇴직급여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고, 회사가 적립금 운용의 주체인 제도다. 가입자가 적립금을 직접 굴리는 확정기여형(DC)은 25.9%, 개인형퇴직연금(IRP)은 20.0%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해 DB형은 3.6%포인트 하락하고, DC형은 1.0%포인트 올랐다. IRP는 지난해 세액공제 납입 한도가 확대(700만원→900만원)되며 비중이 2.6%포인트 상승했다.
적립금 운용 방식별로는 예·적금, 국채 등 원리금이 보장되는 상품에 투자하는 원리금 보장형(80.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퇴직연금이 수익률보다 안정성 위주로 운용되고 있다는 의미다. 상대적으로 기대 수익률이 높은 실적배당형은 12.8%에 그쳤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3년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퇴직연금 중도인출자는 2022년 4만9811명에서 지난해 6만3783명으로 28.1% 증가했다. 중도인출액은 1조7429억원에서 2조4404억원으로 40.0% 불어났다. 중도인출 인원과 금액은 2019년 이후 해마다 감소했는데 4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택 구입을 위한 중도인출자(3만3612명)가 52.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년 전보다 44.7% 증가한 수준으로, 2015년 통계 작성 후 최대 규모다.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 금액도 전년 대비 56.9% 증가한 1조5217억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고금리 영향으로 대출받기 어려운 사람들이 퇴직연금으로 쌓아둔 돈을 주택 구입에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27.5%), 회생 절차(13.6%) 등이 퇴직연금 중도인출 주요 사유로 조사됐다. 20대 이하는 전월세 보증금 등 주거 임차를 위한 중도인출이 가장 많았다. 30대 이상 연령대에선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 인출 비중이 높았다.
지난해 퇴직연금 총적립금은 전년 대비 13.9% 증가한 381조원에 달했다. 퇴직연금을 도입한 사업장은 43만6535개로 전년(43만6348개)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퇴직연금 가입 근로자는 2.8% 증가한 714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는 확정급여형(DB) 비중이 53.7%로 가장 높았다. DB형은 가입자의 퇴직급여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고, 회사가 적립금 운용의 주체인 제도다. 가입자가 적립금을 직접 굴리는 확정기여형(DC)은 25.9%, 개인형퇴직연금(IRP)은 20.0%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해 DB형은 3.6%포인트 하락하고, DC형은 1.0%포인트 올랐다. IRP는 지난해 세액공제 납입 한도가 확대(700만원→900만원)되며 비중이 2.6%포인트 상승했다.
적립금 운용 방식별로는 예·적금, 국채 등 원리금이 보장되는 상품에 투자하는 원리금 보장형(80.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퇴직연금이 수익률보다 안정성 위주로 운용되고 있다는 의미다. 상대적으로 기대 수익률이 높은 실적배당형은 12.8%에 그쳤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