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조한 참여=서울의 파업 참가자는 70여명에 불과해 관공서는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이었다.
전체 직원 1036명 중 751명이 전공노 조합원인 강북구청은 지도부 6명만 파업에 참여했다. 영등포구청, 강서구청, 양천구청, 국회사무처 등의 파업 참가율도 낮았다.
총파업 투표율이 90%에 육박했던 구로구청은 1152명의 직원 중 900여명이 조합원이지만 지도부 8명만 파업에 참가했다.
부산 영도구지부는 이날 오전 조합원들에게 파업 불참을 통보하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구청 광장에서 ‘현장파업 무산에 따른 보고대회’를 갖고 파업 불참을 공식선언했다. 부산 해운대구, 사상구, 수영구지부 등도 이날 대의원대회를 갖고 파업 불참을 결정했다.
전공노 파업 첫날 참여인원(단위:명) | |||
시 도 | 오전 9시현재 | 오후 2시 현재 | |
미복귀 | 복귀 | ||
서 울 | 62 | 54 | 8 |
부 산 | 15 | 14 | 1 |
대 구 | 19 | 14 | 5 |
인 천 | 412 | 81 | 331 |
광 주 | 2 | 2 |
|
울 산 | 1152 | 1088 | 64 |
경 기 | 93 | 89 | 4 |
강 원 | 1085 | 706 | 379 |
충 북 | 168 | 30 | 138 |
충 남 | 16 | 16 |
|
전 북 | 17 | 17 |
|
전 남 | 188 | 55 | 133 |
경 북 | 7 | 7 |
|
경 남 | 53 | 47 | 6 |
제 주 | 5 | 5 |
|
중앙부처 | 6 | 6 |
|
계 | 3300 | 2231 | 1069 |
자료:행정자치부 |
광주에서는 14일부터 간부급 공무원들이 끈질긴 설득작전을 펴 일부 구청에서는 전공노 지도부 스스로 문자메시지 등을 보내 출근을 독려하기도 했다. 다른 지방도 사정이 비슷했다.
그러나 자치단체장이 민주노동당 소속인 울산 동구청과 중구청은 각각 73%, 62%의 높은 파업참가율을 나타냈다.
▽업무 복귀=이날 오전 각각 55%, 53%의 높은 파업참가율을 보였던 울산 남구청과 북구청은 오후 들어 16일 정상출근을 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충북에서 최다 인원인 135명이 파업에 참가했던 괴산군은 이날 오후 지도부 2명을 제외한 전원이 복귀했다.
전남 강진군은 노조원 150명이 군청 앞 광장에서 파업을 결의한 뒤 군청 뒷산에서 ‘자연정화활동’을 벌이다 경찰이 49명을 연행하자 101명은 복귀했다.
▽‘떠돌이’ 집행부=전공노 집행부는 당초 서울에서 대규모 ‘파업 집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경찰의 봉쇄와 시위장소로 정했던 대학측의 거부로 14일과 15일 떠돌이 신세가 될 수밖에 없었다.
김영길 위원장 등 집행부는 14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전국노동자대회에 조합원 1000여명과 함께 참가했다. 이후 이들은 파업 전야제 행사를 위해 서울대에 도착했으나 경찰의 봉쇄로 급히 집회장소를 연세대로 바꿨다.
하지만 경찰의 진압 가능성이 커지면서 조합원들은 연세대에서의 전야제도 1시간 만에 중단하고 흩어졌다.
이들은 다시 15일 오전 한양대에서 파업결의대회를 열 예정이었지만 이마저도 대학측의 시설보호요청과 경찰의 봉쇄로 무산됐다.
▽왜 실패했나=단체행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파업의 명분이 약했던 데다 정부의 강경 대응 방침, 차가운 여론 등으로 조합원의 참여가 저조했던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여기에다 약한 조직력과 노동운동 차원에서의 미숙함도 이유로 분석됐다. 한 노동전문가는 “전공노의 주축이 경남 강원 충북 지역본부 등 일부 지방에 한정돼 있어 지역별 편차가 큰 데다 서울과 중앙부처는 조직의 핵심동력이 아니어서 투쟁력과 파급효과가 떨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전공노 집행부가 노동운동의 전략과 전술을 체화하지 못한 가운데 정부를 상대로 투쟁하려다 보니 내부 혼선과 외부 입김에 흔들린 측면이 많다는 관측도 있다.
이현두기자 ruchi@donga.com
이종훈기자 taylor55@donga.com
울산=정재락기자 raks@donga.com
댓글 0